336x280(권장), 300x250(권장), 250x250, 200x200 크기의 광고 코드만 넣을 수 있습니다.
mysql 포트변경

vim /etc/mysql/my.cnf [mysqld] #port = 3306 port = 65555 service mysql restart ======================================= listen IP대역 변경 vi /etc/mysql/my.cnf #bind-address = 127.0.0.1 bind-address = 0.0.0.0 netstat -ntlp | grep mysqld service mysql restart


# mysql -u root -p
[mysql -h hostname -u username -p password database]
> show databases;
> help

> use db
> show tables;
> show columns;

사용자계정확인
> use mysql;
> select host, user, password from user; 

사용자추가
> create user userid //사용자만 추가
> create user userid@localhost identified by 'password'; //사용자추가 및 패스워드 설정
> create user 'userid'@'%' identified by 'password'; //'%'의 의미는 외부에서의 접근을 허용한다.

또는

> INSERT INTO user (Host, User, Password) VALUES ('localhost', '계정아이디', password('비밀번호'));
> INSERT INTO user (Host, User, Password) VALUES ('%', '계정아이디', password('비밀번호'));
> FLUSH privileges;

사용자제거
> drop user '사용자ID'@localhost;
> select * from user;    // 모든 사용자 ID 조회
> delete from user where user = '사용자ID';      // 사용자 삭제

데이터베이스 생성 및 삭제
> create database DB명;    // 데이터베이스 생성
> create schema DB명 default character set utf8;
> drop database DB명;       // 데이터베이스 삭제

권한설정
> GRANT ALL PRIVILEGES ON DB명.테이블 TO 계정아이디@host IDENTIFIED BY '비밀번호';
// 계정이 이미 존재 하는데 'identified by '비밀번호' 부분을 추가하면 비밀번호가 변경된다
> GRANT ALL privileges ON DB명.* TO 계정아이디@locahost IDENTIFIED BY '비밀번호';
> GRANT ALL privileges ON DB명.* TO 계정아이디@'%' IDENTIFIED BY '비밀번호';

> grant all privileges on DB명.* to userid@'%' identified by '비밀번호' ;  //모든 원격지에서 접속 권한 추가
host에 '200.100.%' 로 하면 IP주소가 200.100.X.X 로 시작되는 모든 IP에서 원격 접속을 허용한다는 의미
host에 '200.100.100.50' 으로 하면 IP주소가 200.100.100.50 인 곳에서만 원격 접속을 허용한다는 의미

> grant all privileges on test.* to userid@localhost identified by '비밀번호';
// user 에게 test 데이터베이스 모든 테이블에 대한 권한 부여 

> grant select, insert, update on test.* to user@localhost identified by '비밀번호';
// user 에게 test 데이터베이스 모든 테이블에 select, insert, update 권한 부여

> grant select, insert, update on test.* to user@localhost;   -- 패스워드는 변경없이 권한만 부여하는 경우
// user 에게 test 데이터베이스 모든 테이블에 select, insert, update 권한 부여

> grant all privileges on *.* to user@localhost identified by '비밀번호' with grant option;
// user 에게 모든 데이터베이스 모든 테이블에 권한 부여
// 전역 권한은 모두 광범위한 보안문제가 수반되므로 권한을 허용하는 경우 신중해야 함

> flush privileges;     // 변경된 내용을 반영(권한 적용)

원복
> delete from mysql.user WHERE Host='%' AND user='root';
> flush privileges;

사용자에게 부여된 권한 확인
> SHOW GRANTS FOR test@localhost; //userid 와 host명까지 붙여서 검색
> SHOW GRANTS FOR test@'%';
> SHOW GRANTS FOR test@'200.100.100.50';

사용자의 데이터베이스 사용권한 제거
revoke all on DB명.테이블명 from userid;     // 모든 권한을 삭제, DB명.테이블명 = *.*

참고 : http://link2me.tistory.com/431


336x280(권장), 300x250(권장), 250x250, 200x200 크기의 광고 코드만 넣을 수 있습니다.

SysWOW64란?

%SystemRoot%\SysWOW64 디렉토리는 %SystemRoot%\system32 디렉토리가 리다이렉트된 디렉토리이며
64비트에서 32비트 시스템 프로그램이 %SystemRoot%\system32 디렉토리에서 읽고 쓰는 내용은 모두 %SystemRoot%\SysWOW64로 리다이렉트된다.

System32 디렉토리에서는 64비트 프로그램이 저장돼있는 반면, 32비트 프로그램은 SysWOW64  디렉토리에 존재한다.

WoW64 환경에서 32비트 프로그램이 HKLM\Software에 읽고 쓰는 데이터는 HKLM\SOFTWARE\Wow6432Node로 리다이렉트되며
64비트 시스템에서 32비트 악성코드가 HKLM\Software에 읽고 쓰는 흔적은 HKLM\SOFTWARE\Wow6432Node에 존재한다.
만약, 32비트 악성코드가 레지스트리 Run 항목에 자동실행을 등록한다면 해당 흔적은 아래와 같은 위치에 존재한다.
HKLM\SOFTWARE\Wow6432Node\Microsoft\Windows\CurrentVersion\Run

64비트 환경에서 실행된 32비트 악성코드의 흔적은 %SystemRoot%\SysWOW64 하위에서 찾는다.
32비트 프로그램에서 시스템 권한을 사용하는 데이터 흔적은 "%SystemRoot%\system32\config\systemprofile"가 아닌 "%SystemRoot%\SysWOW64\config\systemprofile"에서 찾아야 된다.

'Analysis > Windows' 카테고리의 다른 글

sc query  (0) 2016.08.11
Windbg 사용  (0) 2016.06.23
WebDAV에서 사용하는 메소드  (0) 2016.06.21
윈도우 보안 이벤트 // IIS 로그 분석  (0) 2016.06.21
윈도우 커맨드라인 명령어  (0) 2016.04.07
336x280(권장), 300x250(권장), 250x250, 200x200 크기의 광고 코드만 넣을 수 있습니다.

Ubuntu

samba 설치 및 공유폴더 설정
=========================================================

sudo apt-get install samba system-config-samba gksu

sudo gksu system-config-samba
  top menu
  Preferences - server settings
    - Guest Account : avahi
  Preferences -  samba users
    - Add User : avahi
sudo apt-get install sysv-rc-conf
sudo sysv-rc-conf --list
  - smbd 와 nmdb 데몬이 실행되어야 자동 실행됨

runlevel
  - 0 : system halt
  - 1 : single-user mode
  - 2 : graphical multi-user plus networking (DEFAULT)
  - 3 : Same as "2", but not used
  - 4 : Same as "2", but not used
  - 5 : Same as "2", but not used
  - 6 : System reboot

부팅시 데몬 실행 등록
  - sudo update-rc.d smbd defaults
  - sudo update-rc.d nmbd defaults

등록확인
  - sudo sysv-rc-conf --list | grep -E "nmbd|smbd"

실행123
sudo restart smbd && sudo restart nmbd

sudo gksu system-config-samba
  - +add samba share
  - basic
  - access : only allow access to specific users

폴더권한설정 후
윈도우에서 \\IP\ 접속


tar 압축 & 해제
=========================================================
압축 : tar -cvf 파일명 디렉토리명
해제 : tar -xvf 파일명
.gz 해제 : tar -zxvf 파일명
 -c : 파일을 tar로 묶음
 -p : 파일 권한을 저장
 -v : 묶거나 파일을 풀 때 과정을 화면으로 출력
 -f : 파일 이름을 지정
 -C : 경로를 지정
 -x : tar 압축을 풂
 -z : gzip으로 압축하거나 해제함

디스크 크기 : df -h
디스크 관리 툴 설치 : sudo apt-get install gparted
  - 설정 후 apply 실행, 시스템 재시작(재시작을 통해 마운트됨) 



파일명 변경
=========================================================
mv : mv 파일명1, 파일명2
     mv /home/dir1/ /home/dir2/
rename : rename 변경전파일명(test) 변경후파일명(test0) 대상파일(test?)
         "test1" "test2"에서 "test01" "test02"로 변경



Qemu와 KVM
=========================================================
#egrep -c '(vmx|svm)' /proc/cpuinfo
0이면 가상화 지원안함, 1이상일 경우 가상화 지원

#sudo apt-get install qemu
  - bridge-utils
  - libaio1
  - qemu-common
  - qemu-kvm
  - seabios
  - vgabios
#sudo apt-get install qemu-kvm libvirt-bin ubuntu-vm-builder bridge-utils
  필요시
  #sudo adduser [사용자 ID] libvirtd
  #sudo adduser [사용자 ID] kvm

#sudo apt-get install kvm-pxe
#sudo dpkg -L kvm-ipxe
#sudo apt-get install virt-manager

quest 운영체제 올리기
  not used #qemu-img create -f vdi ubuntu11-server.vdi 4G   ##4G 디스크 이미지 생성 .vdi(VirtualBox Image)
#sudo kvm-img create -f 이미지포맷 이미지이름 이미지크기

만들어진 이미지에 cdrom 형식으로 iso파일 로딩
  not used #qemu-system-i386 -cdrom ubuntu-11.04-server-i386.iso -k en-us ubuntu11-server.vdi
#sudo kvm -m 4096 -hda ubuntu.vdi -cdromd ubuntu_14.04.iso -boot d

OS 실행
  not used #qemu-system-i386 -k en-us ubuntu11-server.vhd
#sudo kvm -m 메모리크기 -hda 이미지명

게스트 설정
참고 : http://blog.boxcorea.com/wp/archives/334


버추얼박스 설치

=========================================================

sudo apt-get install virtualbox

File > Preference > Network > HostOnly > 어댑터 추가
  - 192.168.56.1/24

=========================================================
Ubuntu Software Center - virtualbox install


uname -a #커널버전 확인
sudo apt-get install linux-headers-(커널버전)-generic

sudo /etc/init.d/vboxdrv setup



'Sandbox > Cuckoo' 카테고리의 다른 글

02 : cuckoo 설치  (0) 2016.07.18
04 : 몽고DB 설정 및 설치  (0) 2016.07.18
08 : IP설정  (0) 2016.07.18
07 : 방화벽 설정  (0) 2016.07.18
06 : Psql 설치 for cuckoo  (0) 2016.07.18

+ Recent posts